오직 들기름만으로 오래 오래 볶아요
입맛 없는 봄이면 상큼한 채소로 입맛을 올려도 좋지만 의외로 묵은지가 그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. 특히 요즘은 이런 저런 채소들이 정말 비싸잖아요. 김치통도 비울 겸 묵은지김치볶음을 했습니다.
제일 중요한 건 묵은지의 짠기와 군내를 충분히 빼는 겁니다. 특별한 비결은 없어요. 양념 잘 털고 잘 씻은 후 깨끗한 물에 30분쯤 담가두는 것이 전부입니다. 오래된 것일수록 담가두는 시간을 길게 가져가면 좋습니다. 한두 번 물을 갈아주고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OcyZ/btqZ7LYhuP6/kVPXxO6Y5IrobKxLjHasL1/img.jpg)
묵은지는 그 자체로 맛있기 때문에 볶는데 특별한 기술은 필요없어요.
나만의 방식이라면 꼭 들기름을 둘러 볶는다는 것과 배추 이파리 부분은 쓰지 않고 배추 줄기 부분만 종종 썰어서 볶는다는 겁니다. 네 맞아요. 식감 때문에 그래요. 이파리보다는 줄기 부분이 확실히 아삭아삭하잖아요. (이파리 부분은 꼭 짜서 쌈으로 먹습니다. 이 또한 별미죠.)
묵은지는 의외로 잘 익지 않아요. 확연하게 색이 변할 때까지 타지 않게 약불로 부지런히 뒤적여주면서 볶으면 됩니다.
묵은지가 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필요했던 것처럼 볶는 데도 김치볶음보다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ZN6aD/btq0efKBwCb/X3KXiKGlxzrZCimAcmnVy0/img.jpg)
이쯤이면 됐다 싶을 때 대파를 종종 썰어 넣어줍니다. 역시 대파 흰 부분만 종종 썰어주세요. 보기에도 좋고 식감도 더 조화롭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wJQA/btq0do164ly/EiZVYsLNEqEVDBW8N5Hal0/img.jpg)
묵은지 한두 포기 다 썰어서 볶았는데도, 막상 다 볶고 나면 양이 팍 줄어있어요. 밥과 함께 먹으면 자꾸만 손이 가서 한 통을 볶아도 금방 다 먹게 되죠. 새큼하면서도 고소하고, 사각사각 아삭아삭하면서도 부드러워요. 밥 반찬으로는 당연히 좋고, 만두나 라면, 칼국수, 심지어 떡볶이에 곁들여도 참 맛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uG4Y/btq0oLXIpNC/iEK2dhk02Snnuq1KgPjt20/img.jpg)
'출근길도 든든하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콩나물무침_소박한 일식일찬 (0) | 2021.03.24 |
---|---|
가리비 육수로 맛 낸 얼큰한 감자수제비 (6) | 2021.03.21 |
가리비육수 해물칼국수 (4) | 2021.03.17 |
훈제연어 샐러드 (2) | 2021.03.16 |
채소 듬뿍 바게트 햄버거 (4) | 2021.03.14 |